답변완료
수식
해외선물(오일,금,유로 fx) 매매시 각각 차트를 2개씩띄워 놓고(차트주기는 동일)
1번차트와 2번 차트에 적용되는 시스템식은 다름
이때 1번차트의 신호를 메인으로 보고
1번차트가 매수면 2번차트는 매수신호에 의해진입 매도신호에의해 청산
1번차트가 매도면 2번차트는 매도신호에 의해진입 매수신호에의해 청산
물론 2번차트에 의해서 보유중이면 1번차트신호가 바뀔시 바로 청산하고요
그런데
예제6. 주기가 다른 여러 차트를 참조해 주문발생하기 중
OnRiseSignal은 연결된 차트에서 완성신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는 이벤트이고 완성신호 정보는
완성신호객체(Signal)가 제공합니다.
(위부분이 핵심인듯 한데)
보고 해보려고 하니 비슷한 도움말인데 응용을 해보려니 좀 어렵내요
질문요약
1번차트 매매신호를 기준으로 매수면 2번차트의 매수신호에 의해 진입 매도에 청산
1번차트 매매신호를 기준으로 매도면 2번차트의 매도신호에 의해 진입 매수에 청산
2번차트 수식은 1번차트 수식과는 달라서 (신호가 각각 나옴)
1번신호가 바뀌면 보유중이면 무조건 청산 입니다.
해외선물 3가지 종목을 동시에 매매할겁니다.
감사합니다.
예로 GOLD 1번차트 macd (주기가 50) 골든일때 매수 신호 발생시
GOLD 2번차트 macd (주기가 10) 골든일때 매수해서 데드일때 청산
여기서 GOLD 1번차트 2번차트 주기는 동일
1번차트 macd (주기가 50) 데드일때 매도 신호 발생시
2번차트 macd (주기가 10) 데드일때 매도해서 골든일때 청산
진입에 의해 보유시 1번차트가 반대신호로 나오면 무조건청산
입니다.
(((******1번차트의 위의 예시처럼 macd식을 이용할것이아니고 차트에 macd 수식을 적용했을때 발생되어지는 차트신호만 받아서 예제6번처럼 1번차트의 발생신호 이벤트만
받아들여서 2번차트신호에 의해 매매할겁니다******)2번차트는 직전봉이 스토케스틱 30이하침체진입후 현재봉이 앞봉값보다 높을때 매수,,직전봉이 스토케스틱 70이상 과열진입후 현재봉이 앞봉값보다 낮을때 매도)) 입니다.
1번차트에 발생된 신호만 2번차트에서 받아들여 2번차트는 스토케스틱 수식에의해 매매
골드,유로fx,오일 동시매매
==========================================================
==========================================================
아래수식은 1번문의한 내용을 수식화한것입니다.
그런데 예스트레더작성한것을
예스스팟에서는 syntax 에러가 난다고해서 실행을 못해보고 있습니다.
<<<<<<<<<<<<<<< 2번문의 >>>>>>>>>>>>>>>>>
input : b_time1(000000),e_time1(240000),목표청산1(3);
input : stoK_p11(150),stoK_p12(20),stoK_p13(30);
input : ma_p11(15),ma_p12(5),ma_p13(10),ma_p14(80),ma_p15(10),ma_p16(40),ma_p17(35);
input : sto1(10),sto2(5);
Var:stoK1(0),stoD1(0),TRIXv(0),TRIXsig(0),stok2(0),T(0);
stok2 = StochasticsK(sto1,sto2);
If b_time1 <= Time and Time <= e_time1 Then
{
stoK1 = StochasticsK(stoK_p11,stoK_p12);
stoD1 = StochasticsD(stoK_p11,stoK_p12,stoK_p13);
If countif(ma(C,ma_p11)[1] < ma(C,ma_p11),1) == 1
and (ma(C,ma_p12)[1] <= ma(C,ma_p13)[1] and ma(C,ma_p12) > ma(C,ma_p13))
and countif(ma(C,ma_p14)[1] < ma(C,ma_p14),1) == 1
and countif(ma(C,ma_p15)[1] < ma(C,ma_p15),1) == 1
and countif(ma(C,ma_p16)[1] < ma(C,ma_p16),1) == 1
and countif(ma(C,ma_p17)[1] < ma(C,ma_p17),1) == 1
Then
{
T = 1;
if MarketPosition == -1 Then
ExitShort("매도1청산");
}
If countif(ma(C,ma_p11)[1] > ma(C,ma_p11),1) == 1
and (ma(C,ma_p12)[1] >= ma(C,ma_p13)[1] and ma(C,ma_p12) < ma(C,ma_p13))
and countif(ma(C,ma_p14)[1] > ma(C,ma_p14),1) == 1
and countif(ma(C,ma_p15)[1] > ma(C,ma_p15),1) == 1
and countif(ma(C,ma_p16)[1] > ma(C,ma_p16),1) == 1
and countif(ma(C,ma_p17)[1] > ma(C,ma_p17),1) == 1
Then
{
T = -1;
if MarketPosition == 1 Then
ExitLong("매수1청산");
}
}
if T == 1 then{
if countif(stok2>stok2[1],2) == 1 and stok2[1] < 10 Then
buy("매수2");
if countif(stok2<stok2[1],2) == 1 and stok2[1] > 90 Then
ExitLong("매수2청산");
}
if T == -1 then{
if countif(stok2<stok2[1],2) == 1 and stok2[1] > 90 Then
sell("매도2");
if countif(stok2>stok2[1],2) == 1 and stok2[1] < 10 Then
ExitShort("매도2청산");
}
답변을 메일로만 받을수있을까요 ?
444422ver@ naver.com
2015-11-22
2179
글번호 223718
답변완료
수식 수정부탁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당일 14:30분에 매도 진입은 잘 되는데 다음날 매수 청산이 13:30분에 안됩니다.
var CallOrderCode,PutOrderCode;
var Entry, Exit;
function Main_OnStart()
{
Entry = false;
Exit = false;
Main.SetTimer(1, 5000);
}
function Main_OnTimer(nEventID)
{
if (nEventID <= 1)
{
var d = new Date();
var HHMMSS = d.getHours()*10000+d.getMinutes()*100+d.getSeconds();
//14시 30분
if (Entry == false && HHMMSS >= 143000 )
{
Entry = true;
//차트가 무포지션
if (Chart1.GetOpenContracts() == 0)
{
Main.SetUserValue("CallOrderCode", "");
Main.SetUserValue("PutOrderCode", "");
}
//차트가 매수유지봉
if (Chart1.GetOpenContracts() > 0)
{
Main.MessageList("--------------------------------------------");
Main.MessageList("매수신호유지");
var UNum = Option.uppersATM;
var LNum = Option.lowersATM;
//콜옵션중 3.0에 가장 가까운 종목
//콜옵션 모든 종목을 현재가-3.0을 해서 절대값을 취해 저장
var CallCode = new Array(UNum+LNum+1);
var CallPrice = new Array(UNum+LNum+1);
for (var i = -LNum; i <= UNum; i++)
{
CallPrice[i+LNum] = Math.abs(Option.GetCurrent(0, i)-3.0);
CallCode[i+LNum] = Option.GetATMCallRecent(i);
}
//저장된 절대값중 가장 작은 종목의 값과 종목코드 계산
var CC = 99999999;
CallOrderCode = "";
for (var i = -LNum; i <= UNum; i++)
{
if (CallPrice[i+LNum] < CC)
{
CC = CallPrice[i+LNum];
CallOrderCode = CallCode[i+LNum]
}
}
//풋옵션중 3.0에 가장 가까운 종목
//풋옵션 모든 종목을 현재가-3.0을 해서 절대값을 취해 저장
var PutCode = new Array(UNum+LNum+1);
var PutPrice = new Array(UNum+LNum+1);
for (var i = -UNum; i <= LNum; i++)
{
PutPrice[i+UNum] = Math.abs(Option.GetCurrent(1, i)-3.0);
PutCode[i+UNum] = Option.GetATMPutRecent(i);
}
//저장된 절대값중 가장 작은 종목의 값과 종목코드 계산
var PP = 99999999;
PutOrderCode = "";
for (var i = -UNum; i <= LNum; i++)
{
if (PutPrice[i+UNum] < PP)
{
PP = PutPrice[i+UNum];
PutOrderCode = PutCode[i+UNum];
}
}
//종목을 찾았으면
if (CC < 99999999 && PP < 99999999)
{
Account1.OrderSell(PutOrderCode1, Vo1, Option.GetBid(PutOrderCode, 3), 0);
Account1.OrderSell(CallOrderCode, Vo1, Option.GetBid(CallOrderCode, 3), 0);
Main.SetUserValue("PutOrderCode", PutOrderCode);
Main.SetUserValue("CallOrderCode", CallOrderCode);
=================== 중 략 =========================================================
//13시 30분
if (Exit == false && HHMMSS >= 133000 )
{
Exit = true;
//내부파일의 값을 가져와 변수에 저장
var PreDayCall = Main.GetUserValue("CallOrderCode");
var PreDayPut = Main.GetUserValue("PutOrderCode");
//PreDayCall에 값이 있으면
if (PreDayCall != "")
{
//잔고셋팅후 매도포지션이면 청산하고
//내부파일의 값을 빈공간으로 만듬
Account1.SetBalanceItem(PreDayCall,0)
if (Account1.Balance.count > 0 && Account1.Balance.position == 1)
{
Account1.OrderBuy(Account1.Balance.code, Account1.Balance.count, 0, 1);
Main.SetUserValue("CallOrderCode", "");
}
}
//PreDayPut에 값이 있으면
if (PreDayPut != "")
{
//잔고셋팅후 매도포지션이면 청산하고
//내부파일의 값을 빈공간으로 만듬
Account1.SetBalanceItem(PreDayPut,0)
if (Account1.Balance.count > 0 && Account1.Balance.position == 1)
{
Account1.OrderBuy(Account1.Balance.code, Account1.Balance.count, 0, 1);
Main.SetUserValue("PutOrderCode", "");
}
}
//모두 수행후 값을 빈공간으로 만듬
Main.SetUserValue("CallOrderCode", "");
Main.SetUserValue("PutOrderCode", "");
}
2015-11-03
2312
글번호 223704
답변완료
DDE 와 관련해서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DE 와 관련해서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1. DDE 객체의 속성을 코드 상에서 설정이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스크립트 속성 화면에서 설정하는 것은 적용이 되지만,
아래처럼 코드 상에서 직접 속성값을 설정하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Read 만 가능하고 Write 는 불가능)
DDE1.service = "DDEServ";
DDE1.topic = "Data";
코드 상으로는 속성 변경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2. DDE 객체의 OnRcvItem 함수가 동작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검증을 위해, 예스스팟 이외에 별도의 DDE 클라이언트를 함께 사용해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1. Excel 테스트
A1 셀의 값을 가져오기 위해
그림 1 처럼 DDE1 객체 속성에서 Service 를 EXCEL, Topic 을 지정한 후
DDE1.Request("R1C1") 를 실행했지만, 그림 1 의 디버깅 화면처럼,
DDE 객체의 OnRcvItem 함수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Topic 설정은 "C:Test.xls" 과 "[Test.xls]sheet1" 두 가지를 해봤습니다)
엑셀 파일은 문제가 없었는데,
그림 2 처럼 다른 DDE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테스트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값이 조회되었기 때문입니다.
2. DDE 서버를 이용한 테스트
원인을 찾기 위해, 그림 3 처럼 별도의 DDE 서버 프로그램을 가지고 확인한 결과
예스스팟에서 보낸 Request 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Item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까지는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DDE 객체의 OnRcvItem 함수는 마찬가지로 실행되지 않았는데,
(그림 3 처럼, DDE 클라이언트를 가지고 확인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값이 조회되었습니다)
DDE 서버쪽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타를 전송해서,
OnRcvItem 함수가 실행이 안되는 것 같은데,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3. 참고로 2 번 테스트에 사용한 코드를 보입니다.
var Count;
function GetCurrentTime()
{
d = new Date();
return d.getHours() + ":" + d.getMinutes() + ":" + d.getSeconds();
}
function Main_OnStart()
{
Main.MessageLog("시작 - " + GetCurrentTime());
// 1 초마다 DDE Request 요청
Count = 0;
Main.SetTimer(1, 1000);
}
function Main_OnTimer(nEventID)
{
if (nEventID == 1)
{
Main.MessageLog("타이머 - " + GetCurrentTime());
// String1 아이템 요청 (정상적인 리턴값은 "123" 의 문자열)
DDE1.Request("String1");
if (++Count >= 3)
{
Main.KillTimer(1);
}
}
}
function DDE1_OnRcvItem(sItem, sData)
{
Main.MessageLog("OnRcvItem");
}
2015-10-30
2488
글번호 223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