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Signal1 = Chart1.GetIncompleteSignal();
if (Signal1 != null && Signal1[0] != null) { c1_price=Signal1[0].price; c1_name=Signal1[0].name; }
1초마다 돌려서 미완성 신호 상태를 검사하려고 하는데
저 구문이 맞는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1. 예비신호 가격을 가져오려면
Signal1[0].price 로 하는것인가요?
Signal1.price 로 하는 것인가요?
[0] 의 의미가 무엇인지요?
2. var Signal1 = Chart1.GetIncompleteSignal(); 을 1초 마다 돌렸다면
예비신호가 나왔다가 없어졌다면 나왔을때 null 이 아닌 값이 들어갔을것인데,
다시 예비신호가 없어진 후 1초 타이머에 걸려서 위 구문이 돌아가면
Signal1 에 신호가 없으니 다시 null 값이 들어가나요?
[0] 을 써야 하는 것이라면 [0] 쪽에만 null 이 들어가나요?
그럼, [0] 이 있다는 것은 예스랭귀지처럼 이전값의 경우는 [1] 이 되는 것인가요?
이런 세세한 부분에 대한 메뉴얼이 찾아봐도 없어서 여기에 질문 드립니다.
답변 1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14-05-08 16:37:05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1,
Signal1[0].price로 작성하셔야 합니다.
미완성신호는 동일시점에 여러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Chart1.GetIncompleteSignal()는 배열값으로 미완성신호정보가 리턴됩니다
만약 동일시점에 2개가 발생했다면
[0],[1]번방에 각 미완성신호에 대한 정보가 저장이 되고
각 배열방을 지정해서 값이나 이름을 불러와 사용하셔야 합니다.
2
1번에 답변드린 부분과 같이 [1]은 이전값이 아닙니다.
예비신호가 나왔다가 없어졌다가를 반복하므로 직전에 미완성신호가 2개 나와서
[0],[1]에 값을 저장했는데 이후에 1개만 발생하거나 하나도 발생하지 않아도
[0]과 [1]번방에 값이 남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사용후에는 각 배열방의 저장된 값을
삭제하는 내용이 필요합니다.
function Main_OnStart()
{
Main.SetTimer(1, 1000)
}
function Main_OnTimer(nEventID)
{
if(nEventID == 1)
{
var Signal1 = Chart1.GetIncompleteSignal();
if (Signal1 != null)
{
//확인
Main.MessageList(Signal1[0].name,Signal1[0].price, Signal1[1].name,Signal1[1].price)
//확인 후 삭제
//모든 배열방 내용 삭제 (Signal1.length는 배열의 값이 저장된 방갯수)
for (var i = 0; i < Signal1.length; i++)
{
Main.RemoveIncompleteSignal(Signal1[i]);
}
}
}
}
즐거운 하루되세요
> Ricky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미완성신호 객체 질문
> var Signal1 = Chart1.GetIncompleteSignal();
if (Signal1 != null && Signal1[0] != null) { c1_price=Signal1[0].price; c1_name=Signal1[0].name; }
1초마다 돌려서 미완성 신호 상태를 검사하려고 하는데
저 구문이 맞는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1. 예비신호 가격을 가져오려면
Signal1[0].price 로 하는것인가요?
Signal1.price 로 하는 것인가요?
[0] 의 의미가 무엇인지요?
2. var Signal1 = Chart1.GetIncompleteSignal(); 을 1초 마다 돌렸다면
예비신호가 나왔다가 없어졌다면 나왔을때 null 이 아닌 값이 들어갔을것인데,
다시 예비신호가 없어진 후 1초 타이머에 걸려서 위 구문이 돌아가면
Signal1 에 신호가 없으니 다시 null 값이 들어가나요?
[0] 을 써야 하는 것이라면 [0] 쪽에만 null 이 들어가나요?
그럼, [0] 이 있다는 것은 예스랭귀지처럼 이전값의 경우는 [1] 이 되는 것인가요?
이런 세세한 부분에 대한 메뉴얼이 찾아봐도 없어서 여기에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