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예스스팟 설정

프로필 이미지
idnotbe
2013-03-04 16:51:10
2223
글번호 222216
답변완료
종합환경설정 -> 예스스팟 설정에서... 1. 예스스팟 민감도를 왠간하면 미사용으로 설정하라는 이유가, 민감도 데이터까지 들어오면 너무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어 끊기는 현상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로컬 민감도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는 해결되는지요? 2. 거래소 민감도와 로컬 민감도는 계산식은 동일 or 유사한지요? 예를 들어, 10초마다 거래소 민감도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그러면 10초마다 민감도 숫자는 거의 유사하게 맞아 떨어지는지요? 3. 옵션 이론가 계산 변수 설정에서 역사적 변동성하고 내재 변동성 선택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론가 계산 시 역사적 변동성 설정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내재 변동성을 선택하면 이론가 = 현재 가격 이므로, 이론가를 산출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요? 이 항목이 왜 있는지 궁금하네요. 수고하세요.
답변 1
프로필 이미지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13-03-06 09:51:44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문의하신 내용 답변드립니다. 1. 예스스팟 민감도를 왠간하면 미사용으로 설정하라는 이유가, 민감도 데이터까지 들어오면 너무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어 끊기는 현상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로컬 민감도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는 해결되는지요? => 어떤 민감도를 사용하더라도 민감도를 사용하게 되면 옵션전종목의 시세데이터를 예스스팟에서 내려 받기 때문에 데이터 양이 많아져서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거래소 민감도를 사용하게 되면 PC에서 계산하지 않으므로 프로그램의 부하가 적어질 수는 있지만 끊김현상과는 거의 상관없습니다. 2. 거래소 민감도와 로컬 민감도는 계산식은 동일 or 유사한지요? 예를 들어, 10초마다 거래소 민감도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그러면 10초마다 민감도 숫자는 거의 유사하게 맞아 떨어지는지요? => 거래소 민감도 계산 방식과 로컬 민감도 계산 방식은 다르며, 이 때문에 결과도 차이가 꽤 납니다. 거래소에서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저희도 알지 못하며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두 개를 맞추어 제공해 드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3. 옵션 이론가 계산 변수 설정에서 역사적 변동성하고 내재 변동성 선택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론가 계산 시 역사적 변동성 설정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내재 변동성을 선택하면 이론가 = 현재 가격 이므로, 이론가를 산출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요? => 이론가는 의미가 없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내재변동성을 선택할 경우 내재변동성을 이용하여 민감도를 계산하므로 민감도 계산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