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가 쓰기금지라서 아래에서 영어대신 국문으로 대체했습니다.
main 객체가운데
On업데이트Account 의 사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저는 계좌의 변동이 생기면 이에 따라 주문을 예스스팟으로 내고자 합니다.
만약, 선물 1계약을 진입했다면 On업데이트Account 에 이벤트가 발생할 겁니다.
그런데 변수가 sAccntNum, sItemCode, l업데이트ID 세가지인데
앞의 두개는 해당계좌번호와 종목을 지적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래서 특정계좌에
특정종목이 계좌에 들어오면 On업데이트Account 이벤트가 발생할 것입니다.
그런데 l업데이트ID는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On업데이트Market 이벤트에서는 해당종목의 시세변화 또는 호가 변화를 구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계좌변동을 감지하는 On업데이트Account에서 시세변화 또는 호가변화를
감지한다는 것이 선뜻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계좌변동 이벤트는 계좌에 새로운
종목이 기록되면 발생하는 것이지, 기존 종목의 시세나 호가가 변동한다고
이벤트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특정종목의 시세나 호가변화를 감지하고자 한다면 On업데이트Market을 사용하면 되지 On업데이트Account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아서, l업데이트ID의 용도가 무엇인지 짐작이 되지 않습니다.
어쩃든 제가 필요한 것은 선물 1계약을 매수하여 계좌에 변동이 생기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즉시 청산하는 주문을 내고 싶습니다. 그래서 On업데이트Account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도 주문을 내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주문계좌는 account1으로 설정하고 종목명은 Future로 제가 설정하고 아래와 같이 메인 객체를 쓴다면,
l업데이트ID는 20001 또는 20002 가운데 어떤 것을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var cnt =0;
function Main_On업데이트Account(sAccntNum, sItemCode, l업데이트ID)
{
if ( sAccntNum == account1.number
&& sItemCode == Future.code
&& l업데이트ID == ???
&& cnt == 0 )
{
cnt=1;
Main.OrderSell(account1.number, Future.code, 0, 1);
}
}
답변 1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13-01-29 11:53:45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On업데이트Account(sAccntNum, sItemCode, l업데이트ID)
설 명 : 계좌잔고에 변동이 있을 때 발생되는 이벤트입니다.
반 환 값 : 없음
매개변수 : sAccntNum – 문자열, 변동이 발생한 계좌번호.
sItemCode – 문자열, 변동이 발생한 종목코드(단축코드).
l업데이트ID – 정수, 발생한 업데이트 종류
(30000: 계좌재조회, 30001 : 종목추가, 30002 : 종목삭제, 30003 : 종목변동)
On업데이트Account의 l업데이트ID는 위 설명과 같이
시세나 호가변화를 감지해서 값을 리턴해 주지 않습니다.
On업데이트Account 이벤트에서 l업데이트ID는
잔고화면등에서 계좌를 재조회하면 30000
계좌에 종목이 추가되면 30001
계좌에서 종목이 청산되어 삭제되면 30002
보유종목의 수량등의 증감이 있으면 30003
이 리턴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nobound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예스스팟 기본 객체 문의
> 업데이트가 쓰기금지라서 아래에서 영어대신 국문으로 대체했습니다.
main 객체가운데
On업데이트Account 의 사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저는 계좌의 변동이 생기면 이에 따라 주문을 예스스팟으로 내고자 합니다.
만약, 선물 1계약을 진입했다면 On업데이트Account 에 이벤트가 발생할 겁니다.
그런데 변수가 sAccntNum, sItemCode, l업데이트ID 세가지인데
앞의 두개는 해당계좌번호와 종목을 지적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래서 특정계좌에
특정종목이 계좌에 들어오면 On업데이트Account 이벤트가 발생할 것입니다.
그런데 l업데이트ID는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On업데이트Market 이벤트에서는 해당종목의 시세변화 또는 호가 변화를 구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계좌변동을 감지하는 On업데이트Account에서 시세변화 또는 호가변화를
감지한다는 것이 선뜻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계좌변동 이벤트는 계좌에 새로운
종목이 기록되면 발생하는 것이지, 기존 종목의 시세나 호가가 변동한다고
이벤트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특정종목의 시세나 호가변화를 감지하고자 한다면 On업데이트Market을 사용하면 되지 On업데이트Account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아서, l업데이트ID의 용도가 무엇인지 짐작이 되지 않습니다.
어쩃든 제가 필요한 것은 선물 1계약을 매수하여 계좌에 변동이 생기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즉시 청산하는 주문을 내고 싶습니다. 그래서 On업데이트Account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도 주문을 내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주문계좌는 account1으로 설정하고 종목명은 Future로 제가 설정하고 아래와 같이 메인 객체를 쓴다면,
l업데이트ID는 20001 또는 20002 가운데 어떤 것을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var cnt =0;
function Main_On업데이트Account(sAccntNum, sItemCode, l업데이트ID)
{
if ( sAccntNum == account1.number
&& sItemCode == Future.code
&& l업데이트ID == ???
&& cnt == 0 )
{
cnt=1;
Main.OrderSell(account1.number, Future.code, 0,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