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 이미지
그림1
안녕하세요.
실전운용준인 전략에 신호가 어제 발생하지 않았는데,
오늘 다시 로그인해보니 어제자 해당위치에 신호가 발생해있었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모르곘습니다. 순간 급락에 의한 신호였지만, 이론상
신호가 발생해었어야 하는게 맞는것 같은데
실전에서는 신호가 없다가, 나중에 백태상에는 신호가 나오니 이해가 어렵네요.
(*첨부파일의 오른쪽 점선이 오늘 확인한 어제자 발생신호입니다, 특정기간동안의 전저점 돌파시 신호발생하는 로직)
답변 1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23-03-22 16:54:38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재조회 하였을때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로직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내용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실시간 매매와 재조회시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
1. 차트의 기간이 달라져서 데이터 차이로 달라지는 경우
예를 들어 500봉의 차트를 조회한다고 했을 때 어제 조회한 경우와 오늘 조회한 경우는 차트 시작시점에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략 내용 중에 지수이동평균선으로 계산되는 지표함수(지수이동평균, 스토케스틱, macd 등)를 사용하실 경우 차트 시작시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계산되는 지표값이 차이가 나게 되고 이에 따라 조회 시점에 따라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틱차트를 사용하는 경우
틱차트의 경우는 차트를 체결건수를 기준으로 차트를 만들기 때문에 실시간 차트와 재조회 차트에서 단 한건의 데이터 차이만 발생해도 그 이후의 모든 차트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내선물에서는 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해외선물의 경우 데이터 묶음 처리 등으로 실시간과 재조회의 차이가 많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봉움직임 가설에 의한 경우
실시간 차트에서는 체결되는 모든 틱데이터를 이용해서 매매신호를 만들게 되지만, 재조회한 데이터에서는 해당 봉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데이터만 가지고 있습니다. 실시간에서는 봉의 저가가 먼저 만들어지고 이후 고가가 만들어 졌는데, 재조회에서는 봉가정에 따라 고가가 먼저 만들어졌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재조회시에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4. 일간갭보정이나 수정주가의 사용
일간갭보정 기능을 사용하면 과거 데이터가 매일 소급해서 수정됩니다. 수정주가의 경우는 3개월 마다(만기일 익일) 과거 데이터가 소급해서 수정됩니다. 과거 데이터가 소급하여 수정됨에 따라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5. 타종목참조
타종목을 참조하는 전략의 경우 실시간에서는 주종목이 완성되면서 참조차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가 발생되었는데, 주종목 완성 이후에 참조차트의 데이터가 들어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재조회시에는 참조차트의 데이터가 달라져 있어서 신호가 바뀌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6. Setstoptrailing 강제청산 사용
Setstoptrailing은 현재 진행되는 봉의 고가 또는 저가에서 반대방향으로 일정폭 움직이면 청산하게 되는데, 실시간에서는 봉 진행 도중의 고가나 저가를 알 수 있지만, 재조회의 경우는 완성된 봉의 고가와 저가를 기준으로 Setstoptrailing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호 차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신호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을 몇가지 설명드렸습니다. 이 내용은 근본적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데이터를 재조회할 경우 그 상황을 똑 같이 재현하지 못해서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예스트레이더에 한정되는 내용은 아니고 모든 시스템트레이딩 툴에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 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상세한 내용은 '예스랭귀지 매뉴얼 > 예스랭귀지 활용 > 실전매매와 시뮬레이션의 차이' 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건곤대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신호미발생
> 안녕하세요.
실전운용준인 전략에 신호가 어제 발생하지 않았는데,
오늘 다시 로그인해보니 어제자 해당위치에 신호가 발생해있었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모르곘습니다. 순간 급락에 의한 신호였지만, 이론상
신호가 발생해었어야 하는게 맞는것 같은데
실전에서는 신호가 없다가, 나중에 백태상에는 신호가 나오니 이해가 어렵네요.
(*첨부파일의 오른쪽 점선이 오늘 확인한 어제자 발생신호입니다, 특정기간동안의 전저점 돌파시 신호발생하는 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