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수식 문의

프로필 이미지
에구머니
2025-07-01 23:38:50
189
글번호 192219
답변완료
안녕하세요? 다이버전스 관련 지표 2개 부탁드립니다. 공통: 등장하는 지표는 RSI이고, 다이버의 기준은 RSI가 스윙로우/스윙하이 만드는 것 입니다. 그리고, 메인차트에서는 H, L 안보고, 그냥 C 기준으로 다이버를 판단합니다. 즉, RSI가 스윙하이들을 만들 때와, 그 때의 C값들을 보고 다이버 여부를 판단합니다. 1. 2개짜리 지표: 1) RSI의 첫번째 스윙로우 < RSI의 두번째 스윙로우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의 스윙로우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로우는 첫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반대로 1) RSI의 첫번째 스윙하이 > RSI의 두번째 스윙하이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의 스윙하이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하이는 첫번째 스윙하이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Else aa = 0; Plot1(aa); 2. 3개짜리 지표: 1) RSI의 첫번째 스윙로우 < RSI의 두번째 스윙로우 < RSI의 세번째 스윙로우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 3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 세번째의 스윙로우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로우는 첫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하고, 세번째 스윙로우는 두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이제는 우리의 짚표 => 우리의 지표 aa 가 언제 -1 값을 갖고, 언제 0 값을 갖을 지는 아실겁니다. 물론, 지표는 스윙로우/하이가 확정될 때 나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지표
답변 1
프로필 이미지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25-07-02 10:23:06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1 input : P(9),left(3),right(3); var : R(0),aa(0); var : LR1(0),LR2(0),LR3(0),LC1(0),LC2(0),LC3(0); var : HR1(0),HR2(0),HR3(0),HC1(0),HC2(0),HC3(0); R = RSI(P); if SwingLow(1,R,Left,right,Left+right+1) != -1 Then { LR1 = R[right]; LR2 = LR1[1]; LR3 = LR2[1]; LC1 = C[right]; LC2 = LC1[1]; LC3 = LC2[1]; if LR1 > LR2 and LC1 < LC2 and LC2 > 0 Then aa = 1; Else aa = 0; } Else if SwingHigh(1,R,Left,right,Left+right+1) != -1 Then { HR1 = R[right]; HR2 = HR1[1]; HR3 = HR2[1]; HC1 = C[right]; HC2 = HC1[1]; HC3 = HC2[1]; if HR1 < HR2 and HC1 > HC2 and HC2 > 0 Then aa = -1; Else aa = 0; } Else aa = 0; Plot1(aa); 2 input : P(9),left(3),right(3); var : R(0),aa(0); var : LR1(0),LR2(0),LR3(0),LC1(0),LC2(0),LC3(0); var : HR1(0),HR2(0),HR3(0),HC1(0),HC2(0),HC3(0); R = RSI(P); if SwingLow(1,R,Left,right,Left+right+1) != -1 Then { LR1 = R[right]; LR2 = LR1[1]; LR3 = LR2[1]; LC1 = C[right]; LC2 = LC1[1]; LC3 = LC2[1]; if LR1 > LR2 and LR2 > LR3 and LC1 < LC2 and LC2 < LC3 and LC3 > 0 Then aa = 1; Else aa = 0; } Else if SwingHigh(1,R,Left,right,Left+right+1) != -1 Then { HR1 = R[right]; HR2 = HR1[1]; HR3 = HR2[1]; HC1 = C[right]; HC2 = HC1[1]; HC3 = HC2[1]; if HR1 < HR2 and HR2 < HR3 and HC1 > HC2 and HC2 > HC3 and HC3 > 0 Then aa = -1; Else aa = 0; } Else aa = 0; Plot1(aa); 즐거운 하루되세요 > 에구머니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수식 문의 > 안녕하세요? 다이버전스 관련 지표 2개 부탁드립니다. 공통: 등장하는 지표는 RSI이고, 다이버의 기준은 RSI가 스윙로우/스윙하이 만드는 것 입니다. 그리고, 메인차트에서는 H, L 안보고, 그냥 C 기준으로 다이버를 판단합니다. 즉, RSI가 스윙하이들을 만들 때와, 그 때의 C값들을 보고 다이버 여부를 판단합니다. 1. 2개짜리 지표: 1) RSI의 첫번째 스윙로우 < RSI의 두번째 스윙로우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의 스윙로우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로우는 첫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반대로 1) RSI의 첫번째 스윙하이 > RSI의 두번째 스윙하이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의 스윙하이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하이는 첫번째 스윙하이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Else aa = 0; Plot1(aa); 2. 3개짜리 지표: 1) RSI의 첫번째 스윙로우 < RSI의 두번째 스윙로우 < RSI의 세번째 스윙로우 2) 첫번째의 C > 2번째의 C > 3번째의 C (물론, RSI 기준 첫번째와 두번째, 세번째의 스윙로우들이 발생한 봉의 종가를 뜻합니다.) 3) 두번째 스윙로우는 첫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하고, 세번째 스윙로우는 두번째 스윙로우보다 n(10)봉 이후에 발생해야 합니다. => 우리의 지표 aa = 1; 이제는 우리의 짚표 => 우리의 지표 aa 가 언제 -1 값을 갖고, 언제 0 값을 갖을 지는 아실겁니다. 물론, 지표는 스윙로우/하이가 확정될 때 나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