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질문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yamu
2025-06-27 15:33:46
211
글번호 192160
답변완료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래식에서 조건만족 시점 사이의 소요된 영업일 수는 value1이 맞나요? 그리고 if h>l*1.08 ... 조건 사이 소요된 시간 단위를 알 수 있을까요 시간단위는 시간, 분 으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2) 배열 hh[cnt] 사이의 시간차 관련 수식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hh[n] 과 hh[n+1] 의 시간차를 구해서 가장 시간차가 짧은 값을 구하고 싶습니다 예를들어 hh[0]발생시간과 hh[1] 발생시간의 시간차, hh[1] 과 hh[2] 의 시간차...hh[19] 와 hh[20] 의 차 를 구해서 가장 짧은 값을 계산 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if Bdate != Bdate[1] Then { DD = DD+1; } if (h>l*1.08) and (d1 == 0 or (d1 > 0 and dd >= d1+5)) Then { d1=dd; value1 = dd; var1=index; var2=var1[1]; var3=h; for cnt = 1 to (var1-var2)-1 { if h[cnt] > var3 then { var3=h[cnt]; } } for cnt = 49 downto 1 { hh[cnt]=hh[cnt-1]; } hh[0]=var3; ... }
지표
답변 1
프로필 이미지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25-06-30 09:32:11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1 value1은 조건만족봉의 일수(dd)가 저장되고 있습니다. 직전 조건만족봉와 일수차이가 아닙니다. 적상한 수식에서는 dd와 value1은 같은 값입니다. 2 직전과 현재조건만족시점이 날짜가 변경되면 시간차 기준이 모호합니다. 올리신 수식에서는 index 차이로 비교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var : mintt(0); Array : mintt[50](0); if Bdate != Bdate[1] Then { DD = DD+1; } if (h>l*1.08) and (d1 == 0 or (d1 > 0 and dd >= d1+5)) Then { d1 = dd; value1 = dd; var1=index; var2=var1[1]; var3=h; for cnt = 1 to (var1-var2)-1 { if h[cnt] > var3 then { var3=h[cnt]; } } for cnt = 49 downto 1 { hh[cnt] = hh[cnt-1]; tt[cnt] = tt[cnt-1]; if mintt == 0 or (tt[cnt]-tt[cnt+1] < mintt) Then mintt = tt[cnt]-tt[cnt+1]; } hh[0] = var3; tt[0] = var1; mintt = 0; for cnt = 0 to 20 { if mintt == 0 or (tt[cnt]-tt[cnt+1] < mintt) Then mintt = tt[cnt]-tt[cnt+1]; } } 즐거운 하루되세요 > yamu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질문 부탁드립니다 >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래식에서 조건만족 시점 사이의 소요된 영업일 수는 value1이 맞나요? 그리고 if h>l*1.08 ... 조건 사이 소요된 시간 단위를 알 수 있을까요 시간단위는 시간, 분 으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2) 배열 hh[cnt] 사이의 시간차 관련 수식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hh[n] 과 hh[n+1] 의 시간차를 구해서 가장 시간차가 짧은 값을 구하고 싶습니다 예를들어 hh[0]발생시간과 hh[1] 발생시간의 시간차, hh[1] 과 hh[2] 의 시간차...hh[19] 와 hh[20] 의 차 를 구해서 가장 짧은 값을 계산 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if Bdate != Bdate[1] Then { DD = DD+1; } if (h>l*1.08) and (d1 == 0 or (d1 > 0 and dd >= d1+5)) Then { d1=dd; value1 = dd; var1=index; var2=var1[1]; var3=h; for cnt = 1 to (var1-var2)-1 { if h[cnt] > var3 then { var3=h[cnt]; } } for cnt = 49 downto 1 { hh[cnt]=hh[cnt-1]; } hh[0]=var3; ... }